우리나라에서 신용카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주 많은데요 특히 카드를 사용하면 연말정산 세액공제도 되고 물품 구매 시 당장 부담이 되지 않도록 할부를 통해 구매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현금이 필요한 경우 현금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카드론도 최대한 빠르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정말 현금서비스나 카드론을 이용해도 될까요? 오늘은 카드를 이용하여 대출을 받는 서비스인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에 대한 정보를 모아 모아 보았습니다.
목차
단기대출 현금서비스와 장기대출 카드론 받아도 될까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의 차이점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대출을 받는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바로 현금서비스와 카드론인데요 이 두 가지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
차이점 | 현금서비스 | 카드론 |
상환기한 | 단기 | 장기 |
대출한도 | 소액 | 고액 |
표에 나와있는 내용처럼 명칭은 조금 다르지만 성격은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상환기한과 대출한도로 나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금서비스는 단기대출, 카드론은 장기대출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두 가지 모두 신용카드로 이용한다는 것이 공통점이면서도 본인의 신용상태로 대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복잡한 절차 없이 신용도 조회만으로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인데요 또한 신용카드를 자주 쓰시는 분들이라면 신용점수도 높아지기 때문에 대출한도 역시 생각보다 좋게 나오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급하다고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한 카드대출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카드대출 정말 쉽게 이용해도 좋은 것일까요?
카드 대출의 위험성
카드 대출의 위험성은 고금리, 신용도 하락, 짧은 상환기간등이 있지만 가장 큰 위험성은 사실 따로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대출의 습관화
입니다. 대출은 돈을 빌리는 것입니다. 그런데 빌리는 순간이 어렵지 않게 되면 돈을 빌린다는 것에 대해 본인이 인지하기가 어렵게 됩니다. 그러면 처음에는 간단하게 소액으로 빌리게 되더라도 마음 한구석에는 언제든지 돈을 크게 빌릴 수 있다는 인식이 생기게 되어 정말 필요한 순간이 아닌 욕심으로 대출을 쉽게 하여 투자나 욕심의 충족을 채울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돈을 쉽게 빌려주는 사람은 왜 그런 것일까요? 마음이 착해서도 아니고 돈을 많이 빌려줘야 이득이 되기 때문입니다. 쉽게 돈을 빌리고 빨리 갚으면 된다는 달콤한 유혹은 당장은 좋게 건전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습관화가 되어버리면 결국은 빚의 수렁으로 빠트리는 지름길이 될 수 있음을 꼭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올바른 카드대출습관
그렇다면 카드대출은 정말 이용하면 안 되는 것일까요? 아닙니다. 누구나 갑자기 돈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카드대출 역시 꼭 필요한 순간에는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올바른 카드대출 습관을 갖고 이용해야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올바른 카드대출 습관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소액이면서 빠르게 상환이 가능한 경우에 1 금융권 비상금 대출을 받는다.
2. 고액 장기대출이 필요한 경우 1 금융권 대출을 먼저 알아본다.
3. 급하게 고액이 필요한 경우 가족과 상의한다.
4. 방법이 없다고 느껴질 때는 꼼꼼히 대출계획을 따져보고 실행한다.
최소한 이 네 가지 방법을 생각해 보고 실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쉽게 쉽게 빌려준다고 쉽게 빌리는 습관을 절대 갖지 마시고 더더욱 꼼꼼하게 따지는 습관으로 가계부 담을 조절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쉽게 빌려주는 것은 이유가 있다.
과거 2000년대 시절 우리나라에서 신용카드를 아무나 무조건 만들어주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때 수많은 사람들이 카드를 만들고 현금서비스를 받고 돌려 막기를 하다가 고액 빚에 시달려 파산하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하던 뉴스를 본 적이 있습니다. 쉽게 돈을 빌릴 수 있는 것을 좋게 보지 마시고 믿지도 마시고 위험하다고 생각하시고 카드 대출을 받으실 때는 꼭 꼼꼼하게 신중하게 고민하시고 실행하시기를 바랍니다. 올해도 건강한 금융생활을 이어나가시기를 응원합니다.
'금융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사용 방법과 관련 이슈 BEST 3 (0) | 2023.02.23 |
---|---|
대출 사기 문자 전화번호 목록 및 문자 유형 (0) | 2023.01.11 |
지독한 전세 사기 (0) | 2022.12.21 |
연말에 조심해야 할 피싱 문자 사기들 (0) | 2022.12.09 |
금리가 높을 때는 저축을 하자 (0) | 2022.11.30 |
댓글